READ

By

강현국 시인 & 시와반시 주간


READ

By

강현국 시인 & 시와반시 주간


소리 단상

강현국 시인 & 시와반시 주간

1


소리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 소리는 어디에서 잠자고 무얼 먹고 사는가. 이목구비도 없이, 생로병사도 없이, 소리는 무엇으로, 어찌하여 세계내(世界內) 존재가 되는가. 내 서재 책상 위에는 청동으로 만든 종이 하나 있다. 두 손을 포갠 것 만한 초미니 에밀레종이다. 그 종소리는 때로 청아하고 자주 서늘하다. 종소리의 몸으로부터 흘러온 아침 햇살, 종소리의 이목구비로부터 불어오는 저녁 바람 속에 나는 자주 지친 시간을 앉혀두곤 한다. 


침묵은 소리의 집이다. ‘내 시는 늘 무엇으로 채워지기를 바라는 배고픈 여백이거나 빅뱅의 내장을 감싸 안은 침묵이다’ 라고 쓴 적 있다. 침묵이 나이 들면 적막이 될 것이다. 잠 못 드는 적막이 벌떡 일어나 탕, 탕, 지팡이로 보름달을 두드렸다. 멀리 가는 강물의 팔다리가 쭉, 쭉, 내 몸에 가지를 쳤다. 적막의 나뭇가지에 몸 찢겨본 적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사물의 소리를 볼 수 있고 소리의 맨몸을 만져볼 수 있는 사람! 

나는 여러 차례 고요와 적막에 대해, 고요와 적막의 차이에 대해 말하곤 했었다. “고요라는 말의 뜨락에는 탱자나무 울타리가 벗어놓은 아침햇살 반짝인다. 적막이라는 말의 우산 속에는 아무도 없고 아무도 없는데 저 혼자 비 내리는 늦은 밤 정거장이 있다. 고요는 다람쥐가 초록 속에 감춰둔 인적 끊긴 길가에 있고, 어느 날 사랑은 가고 이제는 텅 빈 그대 옆자리에 적막은 있다. 그러므로 고요는 가볍고 적막은 무겁다." 도 그 중의 하나이다.


소리를 기준으로 말할 때 고요와 적막은 소리의 화육(化肉)이라는 점에서 같고, 고요가 소리 이후라면 적막은 소리 이전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고요가 소리의 휘발 상태라면 적막은 소리의 앙금 상태라는 점에서 다르다. 고요가 텅 빈 소리라면 적막은 가득한 소리이다. 그러므로 소리의 여백인 고요는 가이없고, 한 시인의 어법에 기대어 말하자면 적막은 사각형의 기억으로 벅차다. 고요와 적막과 침묵; 얼마나 아름다운 소리의 혈육들인가.

2


우리는 그날 해인사에 있었다. 홍류동 계곡 산그늘을 거닐었다. 아픈 시인과 아프지 않은 시인과 물소리와 손잡고 우리는 그날 법고 소리를 들으러 갔다. 침묵과 적막과 고요의 등짐은 한결같이 무거웠다. 아픈 시인의 어눌(語訥)은 적막했고 아프지 않은 시인의 미소에는 햇살이 튕겼다. 그 때 당신 눈빛이 고라니의 그것 같다고 느낀 적 있었다. 덫에 갇힌 고라니의 그 멀뚱거리는 눈빛, 그것은 불안과 초조, 두려움이었다. 체념이었다. 체념을 삼킨 적막이었다. 


아픈 중생을 위해, 아픈 사물을 위해, 아픈 세계를 위해 젊은 스님 두 분이 번갈아 법문을 외었다. 외우다 막히면 서로 쳐다보며 겸연쩍게 웃었다. 천진난만했다. 오로지 리듬뿐인 법문 소리는 아마도 아픈 중생과 아픈 사물과 아픈 세계를 데리고 서방정토까지 갈 것이었다. 불이(不二)의 강을 건너 서방정토를 데리고 올 것이었다. 법고 칠 시간은 아직도 20분이 남아 있었다. 최치원이 두고 간 전나무 아래에서 나는 침묵과 적막과 고요의 높낮이를 헤아렸다. 

 

북을 두드렸다. 한 스님이 어루만지고, 두드리고, 폈다. 또 한 스님이 다시 아픈 세상을 어루 만지고, 막힌 세상을 두드리고, 구석진 세상을 멀리 멀리 폈다. 또 한 스님이 다시 잃어버린 시간을 어루만지고, 잃어버린 시간의 모서리를 두드리고, 검은 시간의 골짜기를 환하게 폈다. 북을 두드렸다. 또 한 스님이 다시 내 어머니 아픈 몸을 어루만지고, 내 어머니 막힌 세월을 두드리고, 내 어머니 이승의 궁핍한 논둑길을 조심조심 폈다.  


소리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 둥 둥 둥 북소리가 둥 둥 둥 어머니를 불러내었다. 둥 둥 둥 어머니가 둥 둥 둥 북소리를 불러내었다. 편하세요, 어머니? 침묵하셨다. 어디 계셔요, 어머니? 적막하셨다. 그곳도 비 오고 바람 불고 꽃 피고 꽃 지나요, 어머니? 고요하셨다. 추녀 끝 풍경 소리가 고요를 흔들었다. 아니, 고요는 흔들리지 않는 것, 풍경 소리가 고요의 한 가운데 실금을 내었다. 소리는 무얼 먹고 사는가. 기러기 한 마리 가물가물 하늘 가장자리를 잡아당겼다.

3


장마 비 멎고 햇볕 났다. 장끼 한 마리 나뭇가지에 매달려 오래 울었다. 노래가 아닌 울음이었다. 장끼가 울 때마다 두텁고 무거운 햇볕이 꿩, 꿩, 뗏장처럼 무너져 내렸다. 지난 봄 그 마을 사람들은 새순 돋는 감나무 아래에서 고라니 수컷을 구워 먹었다. 고라니 암컷이 슬피 울었다. 가까운 앞산에서 사람 사는 마을을 내려다보며 몇날 며칠 온몸으로 울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울림이었다. 억장이 무너졌다.  시간의 혼백이 꿩, 꿩 가지 끝에 매달려 눈물 흘리거나 둥, 둥, 둥 어머니를 불러내었다. 억장 무너지는 소리는 전생과 이승을 오가는 소리이리라. 


내가 무심코 아니 유심코 손가락으로
책상을 탁탁 혹은 톡톡  두들긴 그 소리는 
중국의 서안이나 미국의 텍사스나 
인도의 갠지스 강에서도 순간 
탁탁 혹은 톡톡 울린다 그래서 
서안에서는 궁궐의 한 쪽 문이 열리고 
텍사스에서는 주유소가 새로 생기고
갠지스 강에서는 시체 하나가 떠내려 간다
-오규원, 「탁탁 혹은 톡톡」부분

내가 무심코 탁탁 책상을 두드리는 소리에 궁궐의 한 쪽 문이 열리지 않는다면 고라니와 어머니는 도대체 무슨 관계란 말인가? 세상의 경(經)이며 법(法)인 소리여, 고흐는 왜 제 귀를 잘랐을까. 왜 소리로부터 도망치려 했을까. 왜 이렇듯 숨막혀 했을까?


한 고요가 벌떡 일어나 한 고요의 따귀를 때리듯
이별은 그렇게 맨발로 오고, 이별은 그렇게
가장 아름다운 낱말들의 귀를 자르고
외눈박이 외로움이 외눈박이 외로움의 왼쪽 가슴에 방아쇠를 당길 듯 당길 듯
까마귀 나는 밀밭 너머 솟구치는 캄캄한 사이프러스, 거기

아무도 없소? 아무도......
-강현국, 「별이 빛나는 밤」 전문

이 시의 소재는 별이 빛나는 밤을 그린 고흐의 그림이지만 이 시의 모티브는 나 살던 옛집, 고요의 남쪽이다. 그날의 쓸쓸한 표정을 가진 침묵과 꽃그늘 아래서 심심한 적막과 스스로 가득한 고요를 만나러 가고 싶다. 감꽃 진지 오래이니 실눈 같던 메뚜기들 많이 자랐겠다. 옥수수는 벌써 익어 벌개미취 한창이겠다. 사마귀 앞발이 튼튼해졌겠다. 한 고요가 벌떡 일어나 한 고요의 따귀를 때릴 듯 아무도 없는 캄캄한 거기, 별이 빛나는 밤에.

강현국〡시인, 『시와반시』 주간

강현국


1976년 『현대문학』 시인 등단.

前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및 총장.

시 전문 계간문예지 『시와반시』 발행인 겸 주간.

비영리 사단법인 녹색문화컨텐츠개발연구원 이사장.

시론집 『시의 이해』 『내 손발의 품삯이 얼마나 송구스럽던지』 등. 

시집 『봄은 가고 또 봄은 가고』 『절망의 이삭』 『견인차는 멀리 있다』 『고요의 남쪽』 『달은 새벽 두시의 감나무를 데리고』 『노을이 쓰는 문장』 『구병산 저 너머』, 디카시집 『꽃 피는 그리움』 『내가 만난 사막여우』, 산문집 『먼 곳으로부터 먼 곳까지』 『오래된 약속』 등

홈페이지 : http://www.bansi.co.kr


회사명(이하 ‘회사’라 한다)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 공개합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 계약서 및 청구서 발송, 콘텐츠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 본인인증, 연령인증, 요금 결제 및 정산, 채권추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고충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회사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 보유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 사업자/단체 홈페이지 탈퇴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 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 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 및 채무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 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 재화․서비스 공급완료 및 요금결제․정산 완료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종료 시까지
1)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표시․광고, 계약내용 및 이행 등 거래에 관한 기록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월
- 계약 또는 청약 철회, 대금결제, 재화 등의 공급기록 : 5년
- 소비자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통신비밀보호법」 제41조에 따른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
- 가입자 전기통신일시, 개시․종료 시간, 상대방 가입자 번호, 사용도수, 발신기지국 위치추적자료 : 1년
- 컴퓨터 통신, 인터넷 로그 기록자료,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제3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 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그 외에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② 회사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예) (주) OOO 카드>
-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예) 이벤트 공동개최 등 업무제휴 및 제휴 신용카드 발급>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예)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카드결제계좌정보>
- 제공받는 자의 보유, 이용기간 : <예) 신용카드 발급계약에 따른 거래기간동안>


제4조(개인정보처리의 위탁)
① 회사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 위탁업무 내용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주)아임웹-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쇼핑몰 호스팅 서비스의 시스템 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및 부가, 제휴서비스 제공 및 알림톡, 친구톡, 문자메시지 발송대행 서비스 등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PG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결제 및 에스크로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택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상품 배송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고객센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고객상담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본인확인 업무
- **재위탁사**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주)아임웹 → 인포빕(유)**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발송 업무**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주)아임웹 → (주)루나소프트**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및 친구톡 발송 업무**
② 회사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③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5조(정보주체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 방법)

①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회사에 대해 서면, 전화,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회사는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④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⑤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회사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제6조(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선택항목 : <예) 결혼 여부, 관심 분야>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신용카드번호, 은행계좌정보 등 결제정보>
선택항목 : <관심분야, 과거 구매내역>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① 회사는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회사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회사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 방법
회사는 전자적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제8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회사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제9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회사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또는 모바일에 저장됩니다.
③ 정보주체는 웹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웹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엣지(Edge) : 웹 브라우저 설정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사파리(Safari) : 모바일 기기 설정 > 사파리(Safari) > 고급 > 모든 쿠키 차단
- 삼성 인터넷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인터넷 사용 기록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④ 회사는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사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수집・이용하고 있습니다.


제10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OOO
직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OOO 팀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② 정보주체께서는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제11조(개인정보 열람청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부서
부서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제12조(권익침해 구제 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3.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police.go.kr/minwon/main)


제13조(개인정보 처리방침 시행 및 변경)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XX. X. X. 부터 적용됩니다.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20 황화빌딩 14F
(+82) 2 580 3450


사업자등록번호 315-86-03465 

여성기업 확인 제0111-2025-3765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