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국 시인 & 시와반시 주간
소리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 소리는 어디에서 잠자고 무얼 먹고 사는가. 이목구비도 없이, 생로병사도 없이, 소리는 무엇으로, 어찌하여 세계내(世界內) 존재가 되는가. 내 서재 책상 위에는 청동으로 만든 종이 하나 있다. 두 손을 포갠 것 만한 초미니 에밀레종이다. 그 종소리는 때로 청아하고 자주 서늘하다. 종소리의 몸으로부터 흘러온 아침 햇살, 종소리의 이목구비로부터 불어오는 저녁 바람 속에 나는 자주 지친 시간을 앉혀두곤 한다.
침묵은 소리의 집이다. ‘내 시는 늘 무엇으로 채워지기를 바라는 배고픈 여백이거나 빅뱅의 내장을 감싸 안은 침묵이다’ 라고 쓴 적 있다. 침묵이 나이 들면 적막이 될 것이다. 잠 못 드는 적막이 벌떡 일어나 탕, 탕, 지팡이로 보름달을 두드렸다. 멀리 가는 강물의 팔다리가 쭉, 쭉, 내 몸에 가지를 쳤다. 적막의 나뭇가지에 몸 찢겨본 적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사물의 소리를 볼 수 있고 소리의 맨몸을 만져볼 수 있는 사람!
나는 여러 차례 고요와 적막에 대해, 고요와 적막의 차이에 대해 말하곤 했었다. “고요라는 말의 뜨락에는 탱자나무 울타리가 벗어놓은 아침햇살 반짝인다. 적막이라는 말의 우산 속에는 아무도 없고 아무도 없는데 저 혼자 비 내리는 늦은 밤 정거장이 있다. 고요는 다람쥐가 초록 속에 감춰둔 인적 끊긴 길가에 있고, 어느 날 사랑은 가고 이제는 텅 빈 그대 옆자리에 적막은 있다. 그러므로 고요는 가볍고 적막은 무겁다." 도 그 중의 하나이다.
소리를 기준으로 말할 때 고요와 적막은 소리의 화육(化肉)이라는 점에서 같고, 고요가 소리 이후라면 적막은 소리 이전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고요가 소리의 휘발 상태라면 적막은 소리의 앙금 상태라는 점에서 다르다. 고요가 텅 빈 소리라면 적막은 가득한 소리이다. 그러므로 소리의 여백인 고요는 가이없고, 한 시인의 어법에 기대어 말하자면 적막은 사각형의 기억으로 벅차다. 고요와 적막과 침묵; 얼마나 아름다운 소리의 혈육들인가.
우리는 그날 해인사에 있었다. 홍류동 계곡 산그늘을 거닐었다. 아픈 시인과 아프지 않은 시인과 물소리와 손잡고 우리는 그날 법고 소리를 들으러 갔다. 침묵과 적막과 고요의 등짐은 한결같이 무거웠다. 아픈 시인의 어눌(語訥)은 적막했고 아프지 않은 시인의 미소에는 햇살이 튕겼다. 그 때 당신 눈빛이 고라니의 그것 같다고 느낀 적 있었다. 덫에 갇힌 고라니의 그 멀뚱거리는 눈빛, 그것은 불안과 초조, 두려움이었다. 체념이었다. 체념을 삼킨 적막이었다.
아픈 중생을 위해, 아픈 사물을 위해, 아픈 세계를 위해 젊은 스님 두 분이 번갈아 법문을 외었다. 외우다 막히면 서로 쳐다보며 겸연쩍게 웃었다. 천진난만했다. 오로지 리듬뿐인 법문 소리는 아마도 아픈 중생과 아픈 사물과 아픈 세계를 데리고 서방정토까지 갈 것이었다. 불이(不二)의 강을 건너 서방정토를 데리고 올 것이었다. 법고 칠 시간은 아직도 20분이 남아 있었다. 최치원이 두고 간 전나무 아래에서 나는 침묵과 적막과 고요의 높낮이를 헤아렸다.
북을 두드렸다. 한 스님이 어루만지고, 두드리고, 폈다. 또 한 스님이 다시 아픈 세상을 어루 만지고, 막힌 세상을 두드리고, 구석진 세상을 멀리 멀리 폈다. 또 한 스님이 다시 잃어버린 시간을 어루만지고, 잃어버린 시간의 모서리를 두드리고, 검은 시간의 골짜기를 환하게 폈다. 북을 두드렸다. 또 한 스님이 다시 내 어머니 아픈 몸을 어루만지고, 내 어머니 막힌 세월을 두드리고, 내 어머니 이승의 궁핍한 논둑길을 조심조심 폈다.
소리는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 둥 둥 둥 북소리가 둥 둥 둥 어머니를 불러내었다. 둥 둥 둥 어머니가 둥 둥 둥 북소리를 불러내었다. 편하세요, 어머니? 침묵하셨다. 어디 계셔요, 어머니? 적막하셨다. 그곳도 비 오고 바람 불고 꽃 피고 꽃 지나요, 어머니? 고요하셨다. 추녀 끝 풍경 소리가 고요를 흔들었다. 아니, 고요는 흔들리지 않는 것, 풍경 소리가 고요의 한 가운데 실금을 내었다. 소리는 무얼 먹고 사는가. 기러기 한 마리 가물가물 하늘 가장자리를 잡아당겼다.
장마 비 멎고 햇볕 났다. 장끼 한 마리 나뭇가지에 매달려 오래 울었다. 노래가 아닌 울음이었다. 장끼가 울 때마다 두텁고 무거운 햇볕이 꿩, 꿩, 뗏장처럼 무너져 내렸다. 지난 봄 그 마을 사람들은 새순 돋는 감나무 아래에서 고라니 수컷을 구워 먹었다. 고라니 암컷이 슬피 울었다. 가까운 앞산에서 사람 사는 마을을 내려다보며 몇날 며칠 온몸으로 울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울림이었다. 억장이 무너졌다. 시간의 혼백이 꿩, 꿩 가지 끝에 매달려 눈물 흘리거나 둥, 둥, 둥 어머니를 불러내었다. 억장 무너지는 소리는 전생과 이승을 오가는 소리이리라.
내가 무심코 탁탁 책상을 두드리는 소리에 궁궐의 한 쪽 문이 열리지 않는다면 고라니와 어머니는 도대체 무슨 관계란 말인가? 세상의 경(經)이며 법(法)인 소리여, 고흐는 왜 제 귀를 잘랐을까. 왜 소리로부터 도망치려 했을까. 왜 이렇듯 숨막혀 했을까?
이 시의 소재는 별이 빛나는 밤을 그린 고흐의 그림이지만 이 시의 모티브는 나 살던 옛집, 고요의 남쪽이다. 그날의 쓸쓸한 표정을 가진 침묵과 꽃그늘 아래서 심심한 적막과 스스로 가득한 고요를 만나러 가고 싶다. 감꽃 진지 오래이니 실눈 같던 메뚜기들 많이 자랐겠다. 옥수수는 벌써 익어 벌개미취 한창이겠다. 사마귀 앞발이 튼튼해졌겠다. 한 고요가 벌떡 일어나 한 고요의 따귀를 때릴 듯 아무도 없는 캄캄한 거기, 별이 빛나는 밤에.
1976년 『현대문학』 시인 등단.
前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및 총장.
시 전문 계간문예지 『시와반시』 발행인 겸 주간.
비영리 사단법인 녹색문화컨텐츠개발연구원 이사장.
시론집 『시의 이해』 『내 손발의 품삯이 얼마나 송구스럽던지』 등.
시집 『봄은 가고 또 봄은 가고』 『절망의 이삭』 『견인차는 멀리 있다』 『고요의 남쪽』 『달은 새벽 두시의 감나무를 데리고』 『노을이 쓰는 문장』 『구병산 저 너머』, 디카시집 『꽃 피는 그리움』 『내가 만난 사막여우』, 산문집 『먼 곳으로부터 먼 곳까지』 『오래된 약속』 등
홈페이지 : http://www.bansi.co.kr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20 황화빌딩 14F
(+82) 2 580 3450
사업자등록번호 315-86-03465
여성기업 확인 제0111-2025-3765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