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By

김연희 에디터


VIEW

By

김연희 에디터



도대체 왜(WHY) ‘예술가의 언어’ 인가?

오스카에 할 말 있습니다_씨네21 3월호


중원 수싸움 시작됐다 _주간경향 3월호


정용진 신세계 _이코노미스트 3월호


이미지, 모델 _ 문화 예술 잡지


1


다시 야마병(에디터가 눈에 띄는 제목을 뽑기 위해 겪는 일종의 직업병을 가리키는 은어)에 시달리게 하는 직함이 생겼다. 편집장으로서 창간호에 실릴 글을 써야 하니 시달릴만한 상황이다. 3월에 발행된 잡지들 표지 위 타이틀을 빠르게 리서치했다. 잡지 표지를 장식한 타이틀은 자극적이다. 그런데 유독 문화 예술 잡지들은 어떤 글자가 없다. 역시 문화 예술은 ‘상징’인 것인가?

 

주식회사 뵈뵈는 ‘예술가의 언어’를 전하는 기업이다. 유튜브, 토크콘서트로 전하더니 이번에는 웹 매거진을 통해서도 전한다. 도대체 왜(WHY) ‘예술가의 언어’인가?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

 

‘예술가의 언어’가 지닌 뚜렷한 특성이 있다. 이성보다는 감성, 머리보다는 마음을 움직이는 경향이 매우 짙다. 때문에 우리가 소위 ‘언어’라고 할 때 떠올리는 문자, 말, Language로서의 언어가 예술가에게 있어서는 전달 수단의 전부가 아니다. 아니 어쩌면 일부에 지나지 않다고 표현하는 것이 옳겠다. 그들은 비(非)문자적이고 ‘말’이 아닌 자신만의 예술가의 언어로 내면을 끄집어내어 강렬하게 말을 걸어온다.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모든 예술가가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뵈뵈는 좋은 예술가라면 그들의 창작 과정이나 창작의 결과물 안에 들어있는 다른 사람을 향한 메시지가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조금 유식하게 표현하면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바로 그것이다. 예술가의 언어에 담긴 ‘예술의 사회적 가치’는 학문적으로는 사회적 미학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사회적 미학1)이란 예술이 사회적 맥락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미학의 한 분야로 예술 작품은 사회적 조건을 반영하며,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의미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독일의 사회학자 게오르그 짐멜은 칸트(우리도 한번은 들어본)의 미학 이론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미적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연구해 개인의 미적 경험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분석했다.

 

또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는 미적 경험이 인간의 공감 능력을 증진시키고,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고 주장하며 예술은 타인을 이해하고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고 설명한다. 이 밖에도 인간의 행동이 사회적 상징과 의미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하는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은 예술 작품은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통해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며, 공유된 경험을 형성한다고 말한다. 예술이 사람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심리적 미학(Psychological Aesthetics)도 빠트릴 수 없는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근거이다.

2


뵈뵈는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지닌 예술가의 언어를 널리 전하며 ‘문화 매개’ 기업을 자처한다. 여기서 독자들은 또다시 문화 매개가 뭔데? 라는 질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문화 매개라는 개념을 조금만 들여다봐도 이 사람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예술을 사회적 산물로 바라보며, 예술계라는 '장(field)' 개념을 통해 예술 작품이 사회적 관계와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하는데 그의 문화 매개 이론은 문화 생산과 소비, 그리고 사회 구조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을 제공한다. 그의 대표적인 이론, 문화 자본론을 살펴보자.

 

문화 자본(Cultural Capital)론2) 부르디외는 문화 자본을 개인이 소유한 문화적 자원으로 정의한다. 이는 교육, 지식, 언어 능력, 예술적 취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문화 자본이 높은 사람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회적 성공을 이룰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문화 자본 개념을 통해 계급 구조 속에서 문화적 요소가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지도 설명한다. 그는 문화 자본이 단순한 개인적 특성이 아니라 사회적 계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축적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자본이 형성된다고 본다.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 문화적 재생산(Cultural Reproduction) 이론으로도 확장하는데 더는 머리 아프니 그만 멈추도록 한다.

 

뵈뵈의 ‘문화 매개’는 정확히는 예술 후원 문화의 매개이며 이는 좋은 어른들이, 좋은 어른이 되고자 하는 이들이 하는 ‘문화 자본’의 나눔 문화다. 예술은 배가 부른 사람만 누리는 것인가? 예술 향유에도 계급이 있을까? 여태까지처럼 예술은 국가가 주도해서 진흥, 발전(?)시켜야만 하는 것일까? 예술의 영역에서 나는 과연 괜찮은 소비자인가? 어디까지가 예술인가? 수 많은 질문들이 어느 날 갑자기 나의 질문이 될 때, 예술가의 언어가 지닌 사회적 가치가 내 안에 즐거움, 감동, 위로, 공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저 내 편이 아니면 귀를 닫고 눈을 감은 채 시시때때로 할퀴는 넘쳐나는 혐오의 언어들로부터 나를, 우리를 ‘예술가의 언어’로 보호해 보면 어떨지...? 그저 잠시 즐거웠음에 정당한 예술 소비 가치를 부여할 줄 알고 더 나아가 ‘예술 후견인‘까지 되어 볼 수 있다면(알고 있다. 너무 갔다:;) 우리에게 선뜻 다가온 좋은 예술가의 언어들은 계속해서 우리 옆에 더 다양하고 즐거운 방법으로 들려오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ChatGPT가 우리 삶의 질을 바꿔 준다기에 부랴부랴 월 정액권을 끊고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그려줘’ 해봤다. 각각 2번의 추가 주문 끝에 챗지피티 이미지 생성 AI가 그려준 작품을 첨부한다. 어떤 느낌이 드시는지? 잘 그렸는지? 이런 결의 작품을 구매하고 싶어질지? - 잘 모르겠고 신기하긴 했다.

chatgpt_사랑_김연희

DALL·E the artistic value of love_김연희

Editor 김연희

1)"게오르그 짐멜의 미학과 칸트 철학의 연관성" *철학연구* 50, no. 2 (2020): 45-67.  한국철학회, "게오르그 짐멜의 미학 연구," 한국철학회 공식 웹사이트, 접속일: 2025년 3월 13일, https://www.philosophy.or.kr/simmel-aesthetics.


2)한국사회학회,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과 한국 사회," 한국사회학회 공식 웹사이트, 접속일: 2025년 3월 13일, 

https://www.kss.or.kr/bourdieu-cultural-capital.


회사명(이하 ‘회사’라 한다)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 공개합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 계약서 및 청구서 발송, 콘텐츠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 본인인증, 연령인증, 요금 결제 및 정산, 채권추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고충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회사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 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 보유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 사업자/단체 홈페이지 탈퇴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 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 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 및 채무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 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 재화․서비스 공급완료 및 요금결제․정산 완료 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종료 시까지
1)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표시․광고, 계약내용 및 이행 등 거래에 관한 기록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월
- 계약 또는 청약 철회, 대금결제, 재화 등의 공급기록 : 5년
- 소비자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통신비밀보호법」 제41조에 따른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
- 가입자 전기통신일시, 개시․종료 시간, 상대방 가입자 번호, 사용도수, 발신기지국 위치추적자료 : 1년
- 컴퓨터 통신, 인터넷 로그 기록자료,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제3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 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그 외에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② 회사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예) (주) OOO 카드>
-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예) 이벤트 공동개최 등 업무제휴 및 제휴 신용카드 발급>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예)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카드결제계좌정보>
- 제공받는 자의 보유, 이용기간 : <예) 신용카드 발급계약에 따른 거래기간동안>


제4조(개인정보처리의 위탁)
① 회사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 위탁업무 내용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주)아임웹-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쇼핑몰 호스팅 서비스의 시스템 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및 부가, 제휴서비스 제공 및 알림톡, 친구톡, 문자메시지 발송대행 서비스 등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PG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결제 및 에스크로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택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상품 배송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고객센터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고객상담 업무
- 위탁받는 자 (수탁자) : OOO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본인확인 업무
- **재위탁사**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주)아임웹 → 인포빕(유)**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발송 업무**
- **재위탁받는 자(수탁자) : (주)아임웹 → (주)루나소프트**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문자메시지 발송, 카카오톡 알림톡(정보성 메시지) 및 친구톡 발송 업무**
② 회사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③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5조(정보주체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 방법)

①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회사에 대해 서면, 전화,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회사는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④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⑤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회사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제6조(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회사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선택항목 : <예) 결혼 여부, 관심 분야>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필수항목 : <예)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아이핀번호, 신용카드번호, 은행계좌정보 등 결제정보>
선택항목 : <관심분야, 과거 구매내역>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① 회사는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회사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회사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 방법
회사는 전자적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제8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회사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제9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회사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또는 모바일에 저장됩니다.
③ 정보주체는 웹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웹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엣지(Edge) : 웹 브라우저 설정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쿠키 허용/차단
- 크롬(Chrome)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사파리(Safari) : 모바일 기기 설정 > 사파리(Safari) > 고급 > 모든 쿠키 차단
- 삼성 인터넷 : 모바일 브라우저 설정 > 인터넷 사용 기록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④ 회사는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사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수집・이용하고 있습니다.


제10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회사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OOO
직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OOO 팀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② 정보주체께서는 회사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제11조(개인정보 열람청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부서
부서명 : OOO
연락처 :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번호>

제12조(권익침해 구제 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3.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police.go.kr/minwon/main)


제13조(개인정보 처리방침 시행 및 변경)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XX. X. X. 부터 적용됩니다.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20 황화빌딩 14F
(+82) 2 580 3450


사업자등록번호 315-86-03465 

여성기업 확인 제0111-2025-37652호